최근 강원 북부의 동해안에서 영화”조스”에서 잘 알려 진 “시로자메”등, 공격성 상어가 잇달아 발견되어 강원 히가시 해안이 더 이상 상어의 안전 지대가 아니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공격성 상어의 잇단 출몰은 기후 변화에 따른 수온 상승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피서 시즌을 앞두고 피서객과 어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23일 강원 동해안 북부 지역인 속초 앞바다에서는 조업 중인 어선에 상어 시신 2구가 잇달아 혼획되었다.
우선 이날 오전 4시 20분경 속초 미나토 히가시 측 5.1㎞해상에서 조업 중이던 B호(5.92톤 급의 자체 통신망)에서 상어의 시신 1구가 혼획되었다.
속초 해경이 국립 수산 과학원 고래 연구 센터에 문의한 결과 발견된 어종은 길이 240센치, 180센치 규모의 “상어”으로 확인됐다.
악티 상어는 한국을 비롯한 일본 미국 멕시코 등 북 태평양에 서식하며 최대 300㎝까지 자라면 알려지고 있다.
주로 연어를 먹고 사는 보기가 시로자 메일과 비슷하지만 시로자 메일보다는 몸집이 작다.
시로자자처럼 아직도 사람을 공격했다는 보고는 없다.
주로 온대나 한대 지방에 서식하기 때문에 경주와 포항 등 경상 북도 해안과 강원도 동해안에서 종종 발견되는 어종이다.
23일 오전 속초 앞바다에서 혼획된 악티 상어의 시체(속초 해경 제공)2023.6.23/뉴스 1문항은 이날 발견된 “시로자메”이다.
이날 오전 7시 30분경 속초 창사 미나토 히가시 측 2.7km인근 해상에서 조업 중이던 어선 망에 “시로자메”시신 1구가 걸렸다.
혼획된 흰색 상어는 길이 195센티미터, 둘레 95㎝의 규모였다.
영화”조스”에서 잘 알려 진 “식인 상어” 흰 상어는 한국에서는 주로 전라북도 군산과 충청 남도 보령, 흰색翎섬, 인천 등 서해에서 자주 출몰한 기록이 있다.
1959년 7월 충청 남도 보령시 대천 해수욕장에서 헤엄치고 있던 한 대학생이 상어에게 물려서 사망하는 등 국내에서 상어에 의한 인명 피해는 총 7건으로 이 중 6명이 사망했다.
모두”백상 개미”에 의한 것이다.
시로자자만이 아니다.
지난해 4월 26일”동해안 최북단”인 강원도 고성 봉 노릇 포항 부근 해역에서는 “정산 아리”이 발견되기도 했다.
열대와 온대 수역에 사는 푸른 상어는 이빨이 송곳처럼 날카롭게 안구가 시커먼 것이 특징이며, 성질이 난폭하고 사람을 공격하기도 하고 있다.
이처럼 강원 동해안에서는 볼 수 없는 “공격성 상어”의 잇단 출몰은 해수 온도 상승 때문으로 보인다.
국내 상어 전문가인 군산 오미 히로시 생명 응용 과학부 최…윤 교수는 “시로자자의 경우 20~30년 전까지는 동해안 포항의 위쪽에선 좀처럼 볼 수 없는 어종이었다”로 “열대 해역에 분포하는 상어가 바닷물의 수온 상승으로 점차 올라오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최 교수는 ” 흰 상어는 홋카이도 인근 해역에서도 발견된 기록이 있는 속초 등 강원도 동해안에서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았다고 볼 수도 있지만 쉽게 볼 수 있는 어종이 아니다”며”시로자자뿐 아니라 푸른 상어 개체도 10여년 전부터 늘어나는 “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4월 고성 앞바다에서 혼획된 푸른 상어.(속초 해경 제공)2022.4.26/뉴스 1 같은 흰 상어는 해수욕장 등 얕은 수심의 해역까지 진출한다는 게 문제다.
최 교수는 ” 푸른 상어의 경우 주로 깊은 수심에서 조업하는 어선 망에 걸려서 발견되는 반면 시로자메는 해수욕장 근처에 접근하기도 한다”며”국내 상어 인명 피해 6건 모두 시로자자에게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동시에 “시로자메는 주로 큰 물고기를 먹고 살고 있어 250~300㎝이상 자라면 포유류를 먹거나 사람을 공격하기도 한다”라고 말했다.
이날, 속초에서 발견된 흰색 상어는 193센치.이어 2~3년 성장하면 사람을 공격할 수 있다는 얘기다.
피서 시즌을 앞두고 강원도 동해안 북부 해역에서 공격성 상어가 잇달아 발견되고 해경과 지자체는 비상 사태가 된 듯하다.
상어의 잇단 출몰에서 속초 해경은 서핑, 다이버 등 지역 레저 사업자를 대상으로 상어 출몰 사실을 알려안전 주의를 당부했다.
또 인근 지자체에 사고 예방을 위한 경고 방송을 요청하고 파출소를 통해서 연안 안전 순찰을 강화했다.
속초 해경 관계자는 “공격성이 있는 상어가 연안 해역에서 발견된 만큼 어업인과 레저 활동자 및 해안가의 물놀이객 분들은 활동 시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로 “주변에서 상어가 발견될 경우 즉시 해양 경찰에 신고하라”이라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6885642?ntype=RANKING
‘속초 앞바다에 식인상어’… 동해안 ‘상어 안전지대’가 아닌 최근 강원 북부 동해안에서 영화 ‘조즈’로 잘 알려진 ‘흰상어’ 등 공격성 상어가 잇따라 발견되면서 강원 동해안이 더 이상 상어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공격성 상어의 잇따른 출몰은 기후변화로 인한 n.news.naver.com
‘속초 앞바다에 식인상어’… 동해안 ‘상어 안전지대’가 아닌 최근 강원 북부 동해안에서 영화 ‘조즈’로 잘 알려진 ‘흰상어’ 등 공격성 상어가 잇따라 발견되면서 강원 동해안이 더 이상 상어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공격성 상어의 잇따른 출몰은 기후변화로 인한 n.news.naver.com
‘속초 앞바다에 식인상어’… 동해안 ‘상어 안전지대’가 아닌 최근 강원 북부 동해안에서 영화 ‘조즈’로 잘 알려진 ‘흰상어’ 등 공격성 상어가 잇따라 발견되면서 강원 동해안이 더 이상 상어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공격성 상어의 잇따른 출몰은 기후변화로 인한 n.new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