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4명 중 1명은 고콜레스테롤혈증 심혈관질환 위험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발표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는 16일 국제학술대회 ICOLA 2022 개최를 기념해 서울 콘래드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는 16일 국제학술대회 ICOLA 2022 개최를 기념해 서울 콘래드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지질혈증 팩트시트 및 국민인식 조사결과’ 발표 최선희 이사 “만성질환 관련 정책서지질혈증 패싱현상 지속” “만성질환, 질병 조기진단을 통한 예방과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 “지질혈증 관리모델을 마련해 체계적인 질환관리를 실시해야 한다”

[현대 건강 신문=요·헤스 구 기자]한국의 성인 4명에 한명은 고 콜레스테롤 혈증을 갖고 있으며 07년보다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지질·동맥 경화 학회는 16일 국제 학술 대회 ICOLA2022개최 기념으로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기자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기자 간담회에서는 “2022지방 이상증-팩트 시트 및 국민 인식 조사 결과”을 발표했다.

”2022지방 이상증-팩트 시트”에 따르면 한국 성인의 고 콜레스테롤 혈증의 유병률은 24.0%로 4명에 한명이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콜레스테롤 혈증의 성인 질환을 인지한 경우는 60%를 조금 넘어 절반 정도만 이 약제를 복용 중이었다.

”2022지질 혈증-팩트 시트 및 국민 인식 조사 결과”을 발표한 전·잉교은 홍보 이사(경희 의대 내분비 내과 교수)는 “고 콜레스테롤 혈증 성인의 절반에서 고 콜레스테롤 혈증이 조절되지 않지만 약제를 복용하는 경우는 85%에서 총 콜레스테롤 200mg/dL미만으로 조절된 “이라고 말했다.

또 성인 5명에 한명은 높은 LDL콜레스테롤 혈증을 가지고 있어 연령이 증가하면서 증가했다.

50세 이후는 남성보다 여성의 높은 LDL콜레스테롤 혈증의 유병률이 높았다.

지질 이상증 중에서도 중성 지방 혈증의 유병률은 약 15%로 40~49세의 남성은 또래의 여성보다 4배 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뇨병 환자의 87%, 고혈압 환자의 72%가 지질 이상증을 앓고 있었다.

비만인 사람은 정상 체질량 지수의 사람보다 지질 이상증 위험이 2배 높고 지방 이상증 환자의 절반이 넘는 59.2%가 복부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질 이상증 유병자의 절반이 에너지 섭취 권장량을 취하고 약 25%가 탄수화물 권장량에 따르던.그러나 지질 이상증 유병자의 절반 이상이 신체 활동 부족 상태인 남성의 40%로 여성의 6%가 흡연하고 있어 남성의 72%로 여성의 32%가 음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사망 원인 2위의 심장 뇌 혈관 질환 선행 질환으로 지질 이상증 관리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최·송희 대외 협력 이사(서울대 병원 내분비 내과 교수)은 “지방 이상증의 정책 환경 개선 제언을 통해서 심장 뇌 혈관 질환 관리 종합 계획의 지질 이상증의 사각 지대를 해결할 필요성이 있다”라고 지적했다.

최 이사는 “지질 이상증 관리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지만 각종 만성 질환 관련 정책에서 지질 이상증 패싱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며”그 결과 다른 심혈관 질환 위험 인자와 비교해서 지질 이상증의 유병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질환의 인지율도 55%로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특히 지질 이상증 같은 만성 질환의 경우 병의 조기 진단에 의한 예방 및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건강 진단 시스템에 허점이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국민 건강 보험 공단은 건강 진단 결과 지질 이상증을 포함한 메타볼릭 신드롬의 위험 요인이 발견된 경우, 웰빙 신드롬 관리 사업을 중심으로 환자의 자기 건강 관리를 지원한다.

그러나 대상 증후군 관리 사업은 식습관 및 생활 습관 개선 정도의 권고에 머물렀으며 약물 치료가 필요한 환자 등에 대한 지질 이상증 맞춤형 질환 안내 및 관리 체계가 미비이다.

이는 고혈압, 당뇨병의 경우 일차 의료 만성 질환 관리 모델 사업 등 정부 주도의 사업으로 환자 개인별 맞춤 관리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과 대조적이라는 지적이다.

이에 대한 최 이사는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 인자 간 통합 관리 때문에 지방 이상증 건강 진단 주기를 고혈압, 당뇨병처럼 2년에 환원할 필요가 있어”이라며”또 건강 진단 결과 통보시에 고혈압, 당뇨병, 지질 이상증 질환의 혐의로 관련 질환을 통합하고 확진 검사 비용 지원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일차 의료 만성 질환 관리 모델 사업 등록 대상으로 지질 이상증 단독 또는 고혈압 당뇨의 복합 질환자를 포함하여 이에 대한 관리 모델을 준비하고 보다 체계적인 질환 관리를 실시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최 이사는 “지질 이상증 검진-신고-사후 관리 등 전 주기적 예방·관리 체계 개선을 통해서 심장 뇌 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 인자 간 통합 관리 실현 및 심혈관 질환 발생률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성인 4명 중 1명은 고콜레스테롤혈증 심혈관질환 위험 4명 중 1명은 고콜레스테롤혈증 심혈관질환 위험/환자를 먼저 생각하는 건강전문지 hnews.kr

성인 4명 중 1명은 고콜레스테롤혈증 심혈관질환 위험 4명 중 1명은 고콜레스테롤혈증 심혈관질환 위험/환자를 먼저 생각하는 건강전문지 hnews.kr

성인 4명 중 1명은 고콜레스테롤혈증 심혈관질환 위험 4명 중 1명은 고콜레스테롤혈증 심혈관질환 위험/환자를 먼저 생각하는 건강전문지 hnews.kr